데이터 정제를 하다보면 중첩된 리스트를 만날 때가 종종 있다. 항상 꾸역꾸역 처리하긴 했는데, 까먹고 까먹어서 아예 포스팅에 남겨두기로 했다. 자, 오늘 실습을 도와줄 친구는 nested 라는 친구다 ! 친구를 소개하겠다. nested # Out [[1, 3], [1, 2], [3, 2], [1, 3], [2, 1], [2, 3], [1, 3], [1, 2], [3, 2], [3, 1], ...] 원래는 더 길다란 녀석이지만 편의를 위해서 짤라버렸다. 싹둑 자 이제 처리하는 방법을 알아보자. 처리 방법은 두 가지를 소개하려고 한다. 첫 번째, 이중 리스트의 값을 단일 원소로써 하나~~~씩 모두 출력하는 방법 두 번째, 이중 리스트의 값에서 안쪽 리스트에 있는 값 ( 예를 들면, [1, 3] , [1, 2..
접근법 문제가 길어서 어려워 보이지만 그렇게 어렵지 않게 풀 수 있다. 핵심은 H(높이) 와 W(호수)에서 N번째 손님은 몇 번째 W에 속하는가이다. 즉, N을 H로 나누면 어느 정도 W에 위치하는지에 대한 정보를 구할 수 있다! 아래 표를 예시로 보자. 높이 4에 너비가 5인 호텔이라고 가정하자. 여기서 15번째 손님에 대해 방 배정을 할 경우 15를 높이인 4로 나누어 보자. 몫이 3에 나머지가 3이나온다. 즉, 나머지가 있을 때는 (몫 + 1) 의 W에 위치한다는 것을 알 수 있고, 그 높이는 나머지만큼 올라간다. (3층의 4호) 두번째로 12번째 손님에 대해서 방배정을 해보면 같은 방법으로 몫이 3에 나머지는 없다. 이 경우에는 몫에 해당하는 W의 가장 꼭대기층 (H값) 에 있음을 알 수 있다. ..